큰까치수염 분류 : 앵초과 며칠 사이에 이렇게 져버리다니 2010년 7월 전주에서 까치수염은 귀하다니 큰까치수염 일거라 짐작하며 피기 시작한다. 활짝 피기 시작하니 등에가 놀러왔다 여기서 놀고 저기서 놀더니 가버렸다. 그래서 꽃구경 혼자서 실컷했다. 이렇게나 많이 셔터를 눌러댔는데 세로로 찍은건 거의 .. 이전 2010.07.09
붉은 토끼풀 분류 : 콩과 붉은토끼풀이다. 다른 장소에서 본 적은 별로 없고. 이 곳에 오면 지천에 깔려 있다. '붉은'이란 말 다음에는 '수수밭'이 와야할거 같은.. 붉은 수수밭이란 영화때문일게다. 불행하게도 무슨 내용의 영화였는지 그리고 기억에 남는 장면은 하나도 없으면서도 영화 제목과 어슴.. 이전 2010.07.08
원추천인국(루드베키아) 분류 : 국화과 며칠 사이에 부쩍 피어버린 루드베키아 2010년 7월 전주에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 이렇게 꽃 봉오리가 맺혀서 피기 시작하는군요. 좀 더 진행된 모습 윗 사진과 비슷한데. 잎이 포함된 사진이라서. 드디어 설상화가 벌어지기 시작하고 마치 쥐고 있던 손을 펴는 것처.. 이전 2010.07.08
도라지 - 길경(桔梗) 분류 : 초롱꽃과(Campanulaceae) 설명 : 전국 어디에서나 산과 들에 흔히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키 40-100cm. 뿌리는 굵고, 줄기는 곧게 서며,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옴. 잎은 호생, 긴 난현 또는 넓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없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 털이 없고, 길이 4.. 이전 2010.07.07
사상자(蛇床子) Torilis japonica (Houtt.) DC. 이 약은 벌사상자 Cnidium monieri (L). Cuss 또는 사상자 Torilis japonica Decandolle (산형과 Umbelliferae)의 과실이다. 분류 : 산형과(Umbelliferae)) 설명 : 우리 나라 각처의 들에 나는 월년초. 키 30-70cm. 전체에 털이 분포함, 잎은 호생, 2회 깃꼴겹잎, 길이 5-10cm, 끝이 뾰족하고, 작은잎은 난상 피침형, 뾰족.. 이전 2010.07.05
약모밀 - 어성초(魚腥草) Houttuynia cordata 분류 : 삼백초과(Sauurceae) 설명 : 한국 원산의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5-6월, 결실기 8-9월. 학명 : Houttuynia cordata 영문명 : Heartleaf Houttuynia 약효분류 : 청열해독약 기원 : 약모밀의 꽃필때부터 과실이 달릴 때까지의 전초 흔히 나무 그늘 아래 음지에서 볼 수 있으며 뿌리에서 물고기 비린내때문.. 이전 2010.06.24
괭이밥 - 작장초(昨漿草) 분류 : 괭이밥과(Oxalidaceae) 종류 : 괭이밥, 선괭이밥, 큰괭이밥, 애기괭이밥 괭이밥 너무 흔한데 흰색은 첨이네요. 2010년 6월 전주에서 2009년 9월 광주에서 2006년 6월 광주에서 2009년 11월 전북 완주 대아수목원 열대식물원에서 이전 2010.06.24
원추리 - 훤초근(萱草根 ) 분류 : 백합과 설명 : 산지에 나는 다년초. 잎의 길이는 80cm가량, 폭 1.5-2.5cm. 약간 두껍고 흰 비치 도는 녹색. 꽃줄기는 잎의 길이와 거의 같고, 수개의 선형 포엽이 남. 꽃은 노란색, 수송이가 꽃줄기 끝에 붙고, 포는 2-8cm, 선상 피침형. 꽃의 길이는 10cm 가량, 내화피는 긴 타원형, 끝이 무디.. 이전 2010.06.23
기생초 분류 : 국화과 기생초 금계국의 자리를 이놈이 다 메우고 있다. 꽃이 피어갈수록 적색이 번져나간다. 절반 이상을 점령하다가 거의 끝까지 점령한다. 그러다가 이렇게 시들어가나보다. 옆 모습도 찍어봤다. 뒷모습도 2010년 6월 전주에서 이전 2010.06.23
메꽃 분류 : 메꽃과 정면에서 찍어주고 방향을 조금 틀어서 찍어주고 삼형제도 찍어주고 옆에서도 찍어주고 흰 메꽃도 발견 ^ㅡㅡㅡㅡㅡ^ 2010년 6월 전주에서 메꽃도 종류가 많다. 일일이 나열할 필요는 없을거 같고. 지금의 내 수준은 나팔꽃과 구분하는 정도이기때문에 더 이상은 나중으로 미루기로 하자... 이전 2010.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