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명아주과(Chenopodiaceae)
설명 :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남부 러시아 원산의 한해살이풀.
학명 : Kochia scoparia
영문명 : Summer Cypress, Belvedere
동의보감 :
地膚子(지부자). : 댑싸리 씨. 性寒 味苦 無毒. ː <一名><千頭子>(回春).
ː處處有之 莖赤 葉靑大似荊芥 花黃白 子靑白色 似一眠起蠶 沙堪爲掃箒(추).<一名><落箒子> 8 9月採實 陰乾(本草).
ː主膀胱熱 利小便 治陰卵▩疾 及客熱 丹腫(本草).
§葉 : 止赤白痢 澁腸胃 解惡瘡毒 洗目去熱暗 雀盲澁痛 4 5月 採用之(本草).
성분이 차고 맛이 쓰며 독이 없고 방광(膀胱)의 열을 낫게하고 소변을 이롭게하며 음란(陰卵)의 퇴질(?)및 객열단종(客熱丹腫)을 치료한다. 여러곳에 있으니 줄기는 붉고 잎은 푸르며 크기가 형개(荊芥)와 같고 꽃이 황백색이며 씨가 청백색으로서 한잠 자고 일어나 누에와 같아 소추(掃추)를 할만하니 일명 낙추자(落추子)라 한다. 8~9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 말린다. 일명 천두자(千頭子)라고도 한다.
* 엽(葉) - 적백리(赤白痢)를 낫게하고 장(腸)과 위(胃)를 삽(澁)하게 하며 악창(惡瘡)의 독을 풀어주고 눈을 씻으면 열을 없애고 작맹(雀盲)의 삽통(澁痛)을 치료한다. 4~5월에 채취한다.
2011년 8월 21일 광주에서
2011년 7월 31일 광주에서
2011년 6월 19일 광주에서
'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0) | 2011.08.24 |
---|---|
해변아욱 Kosteletzkya virginica (0) | 2011.08.23 |
금어초 Antirrhinum majus (0) | 2011.08.02 |
일일초 Madagascar periwinkle (0) | 2011.08.01 |
글라디올러스 (0) | 2011.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