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초본)
삼지구엽초 - 음양곽(淫羊藿)
無不爲自然
2011. 4. 16. 19:32
분류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설명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4~5월. 음양곽이란 이름의 유래는 하루에 100번을 교미하는 양이 있었는데 교미후 이 잎을 먹고 다시 정기를 회복하여 다른 암놈을 찾아다닌데서 붙여졌다.
효능 : 예로부터 강장식품 및 성기능을 증강시키는 작용으로 유명한 한약재중 하나이다. 주로 신의 기운을 보하여 남성의 발기부전이나 여성의 자궁발달부전, 노인이 정신이 혼미하고 기력이 없는 증상과 중년 남성의 건망증 등에 그 효능이 있으며 풍습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효능도 있어서 마비증상이나 반신 불수등의 증상에도 응용된다. 남자가 오랫동안 복용하면 자식을 낳을 수 있고 멍울 등을 치료하며 허리와 무릎을 보하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갱년기 여성에 나타나는 고혈압과 소아마비등의 초기에 복용하면 치료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식용법 : 어린 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동의보감 :
淫羊藿(음양곽). : 삼지구엽 풀. 性溫(一云平). 味辛(一云甘). 無毒.
ː<一名> <仙靈脾> 俗呼爲<三枝九葉草>. 生山野 葉似杏葉 上有子 莖如粟稈. 5月 採葉 晒乾. 生處不問水聲者良 又云得酒良. 服此令人好爲陰陽 羊一日百遍合. 盖食此草所致 故名 <淫羊藿> 酒洗剉焙用(本草).
ː主一切冷風 勞氣 補腰膝 丈夫絶陽不起 女人絶陰無子 老人昏耄 中年健忘. 治陰痿 莖中痛 益氣力 堅筋骨 丈夫久服 令有子. 消瘰癧 下部有瘡 洗出虫(本草).
2011년 4월 16일 전주수목원에서